Pages

Monday, September 7, 2020

"가야인은 유리·수정 선호했다"…1700년전 유리 목걸이 보물 지정 예고 - 뉴스핌

sebelumselamanya.blogspot.com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가야 시대를 대표하는 두 고분인 김해 대성동 및 양동리 고분에서 출토된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등 목걸이 3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1700년 전 가야의 유리 시공 목걸이 3건은 '철의 왕국'으로만 주로 알려진 가야가 다양한 유리 제품 가공 능력도 뛰어나 고유한 장신구 문화를 형성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출토된 유물의 보존 상태는 좋으며 형태도 완전해 역사·학술·예술 가치를 지닌 보물로 인정받았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사진=문화재청] 2020.09.07 89hklee@newspim.com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는 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3세기 말~4세기 초 금관가야 시기 중요한 고분 중 하나인 김해 대성동 76호분 고분에서 2011년 대성동고분박물관이 발굴조사를 하다가 목곽묘에서 발견했다.

목걸이는 서로 길이가 다른 3줄로 구성됐고 수정제 구슬 10점, 마노제 구슬 77점, 각종 유리제 구슬 2386점 등 총 2473점으로 이뤄졌으며 평균 지름이 6~7mm 정도로 아주 작은 형태로 다듬은 것으로 보아 여기에 깃들인 가야인들의 시간과 정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참고로 '마노'는 수정과 같은 석영 광물이다. 원석의 모양이 말의 뇌수(머릿골)과 닮았다고 해 '마노'라고 부른다.

맑고 투명한 수정과 주황색 마노, 파란색 유리 등 다종다양한 재질과 색감을 조화롭게 구성한 것이 특색이다. 유리를 곤옥이나 다면체 형태로 섬세하게 가공하고 세밀하게 구멍을 뚫어 연결하거나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는 등 조형적인 완결성을 갖추고 있어 당시 유리 세공 기술이 매우 우수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또 다른 목걸이인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는 1992년 동의대학교박물관의 제2차 발굴 조사 중 토광목곽묘에서 발굴됐다. 양동리 고분 270호는 인접한 여러 고분과 겹쳐 있어 대부분 훼손된 상태였으나 고배(높다리 그릇)를 비롯해 토기류나 철제 유물이 다수 출토돼 가야인들의 생활상을 알려 주는 중요한 고분으로 꼽힌다. '토광목곽묘'는 무덤 속 관을 넣어둔 묘실을 나무로 짜서 만든 무덤이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 [사진=문화재청] 2020.09.07 89hklee@newspim.com

김해 양동리 고분군은 철기시대 무덤군으로 1984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처음 발굴 조사를 해 이후 1990~1996년 동의대학교박물관이 4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해 557기의 유구에서 5100여점의 유물을 출토했다. 특히 여러 색의 크고 작은 유리구슬들을 다량 발견했다.

'김해 양동리 제270호분 출토 목걸이'는 수정제 다면옥 20점과 주판옥 120점, 곤옥 6점 등 총 146점의 수정으로 구성됐다. 전체 약 142.6cm의 길이에 육각다면체형, 주판알형, 곡옥형 등 여러 형태로 수정을 다듬어 연결했으며 제작 시기는 고분의 형식과 부장품 등으로 보아 3세기로 추정된다.

영롱하고 맑은 투명 무색과 황색, 갈색 등이 약간 섞인 은은한 색의 수정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었고, 형태와 크기가 다른 수정을 조화롭게 배치해 조형성이 매우 뛰어나다. 목걸이를 구성하고 있는 수정(水晶)은 한동안 외국산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학계의 연구를 통해 경상남도 양산 등 우리나라 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해 대성동 76호분 목걸이 발굴 장면 [사진=문화재청] 2020.09.07 89hklee@newspim.com

수정목걸이는 3세기 금관가야를 대표하는 지배계층의 장신구로서 3~4세기 가야 유적에서 다수 출토됐으나 이 목걸이는 100여점 이상의 수정으로만 구성된 사례는 매우 희소하다. 또한 가공 기법 또한 오늘날의 세공 기술과 비교해도 될 만큼 완전성이 뛰어나다.

마지막으로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1994년 동의대학교박물관이 목곽묘에서 발굴한 유물이다. 함께 발굴된 유물 중 중국 한대(漢代) 청동 세발 솥(청동정) 등을 통해 3세기 경 축조된 금관가야 시대 고분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목걸이는 수정제 곡옥 147점, 대형 수정제 다면옥 2점, 마노 환옥 6점, 파란유리 환옥 418점, 우리 곡옥 1건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보석 총 574점으로 구성됐다. 특히 경도 7의 단단한 수정 다면체로 가공하거나 많은 수량의 곡옥 형태로 섬세하게 다듬은 제작 방법은 가야인들의 기술 면모를 보여준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사진=문화재청] 2020.09.07 89hklee@newspim.com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지정 예고된 가야 목걸이 3건은 각각 개별 유적에서 일괄로 발견됐고, 금관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목걸이 중 많은 수량의 구슬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희귀한 사례"라며 "가야인들이 신분 위상과 지배 계층의 권위를 장신구를 통해 드러냈음을 실증적으로 말해준다"고 밝혔다.

이어 "금과 은 제품을 주로 다룬 신라, 백제인들과 달리 수정이나 유리구슬을 선호한 가야인의 생활상도 엿볼 수 있다"면서 "화려함을 추구한 당시 사람들의 또 다른 모습을 새롭게 인식하게 해주는 유물"이라고 분석했다.

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 '김해 양동리 76호분 출토 목걸이' 등 3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며, 앞으로 정부혁신의 하나로 가야를 포함한 삼국시대 고고유물의 가치를 밝히는데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89hklee@newspim.com

Let's block ads! (Why?)




September 07, 2020 at 01:05PM
https://ift.tt/3h5L7Ys

"가야인은 유리·수정 선호했다"…1700년전 유리 목걸이 보물 지정 예고 - 뉴스핌

https://ift.tt/2At5HCN

No comments:

Post a Comment